블로그 제작 이유
- 기존에는 옵시디언과 티스토리를 연동해서 쓰고있다가 노션으로 이주후 방치되었기도 하고 티스토리 API 지원이 사라졌다.
- 노션을 쓰던중 내가 적는 것이 블로그와 다른게 뭐지? 라는 생각
- 노션은 팀플에 적합하고 옵시디언은 개인적으로 쓰기 적합
블로그 플랫폼 비교
- Medium
- 티스토리
- 워드프레스
- Ghost
- 깃허브 블로그
- velog
- 인블로그
- 내가 선택한 기준에는 일단 무료, 마크다운 형식 + 노션이나 옵시디언을 통해 업로드가 쉬워야하며, 블로그내용을 찾기 쉽고 직관적이야 했다. 설치형은 상관없는데 너무 A~Z 까지 해야하는 경우는 싫었다.
워드프레스 | Ghost | Medium | 티스토리 | 옵시디언 + Quartz | 깃허브 | velog | 인블로그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가격 | 무료 | 무료 | 무료 | 무료 | 무료 | 무료 | 무료 | 유료 |
사용성(마크다운) | X | O | O | X | O | O | O | O |
업로드 편의성 (노션, 옵시디언 연동) | ▵ | ▵ | X | X | O | O | X | O |
가독성 (디자인) | ▵ | ▵ | X | O | O | ▵ | X | O |
- 따라서 선택한것이 깃허브, 옵시디언, 인블로그였다. 유료인 인블로그를 제외하고 커스터마이징이 복잡한 깃허브를 제공하고 나니 옵시디언 + Quartz 가 나왔다.
설치 방법
1. 깃허브 계정을 만든다.
2. 도메인을 구매한다.
- 도메인은 알아서 가비아, hostingkr, cloudFlare 에서 알아서 구매
- 나는 기존 hostingkr 에 쓰던 도메인이 있어서 이를 사용
3. 깃허브 들어가서 템플릿 복제
https://github.com/jackyzha0/quartz
- 여기로 들어가서 우측 상단에 Use this template를 눌러 내 레포로 복제한다.
4. CloudFlare 가입 및 설정
-
cloudflare 에 가입
-
도메인 구매 또는 이전 nameServer 변경
-
좌측을 보면 Workers 및 Pages 클릭
-
Pages 클릭후 템플릿 레포를 입력, 깃허브 토큰(repo 선택)을 만들어서 같이 넣어줌
-
이후 도메인 추가해주면 끝
-
좀기다린후 도메인에 들어가 보면
-
에러가 나올텐데 내용이 없어서 그런것이므로 내 레포에 있는 quartz을 깃 클론하여 obsidian 을 통해 들어간후 content 폴더 하위에 index.md 를 추가 해주면 된다
5. 메인 화면 바꾸기
- 달도깨비 en